흐름...
이근안도 탄 청룡봉사상, 존재하는 게 부끄러움이다...데일리서프라이즈 펌...
keany
2006. 8. 5. 06:50
[칼럼]"정부 지원은 간섭”이라면서 말바꾸는 <조선>의 행태
조선일보의 얼굴이 심하게 일그러졌습니다. 이제까지 함께 해 온 ‘올해의
스승상’, ‘조선일보 환경대상’, ‘청룡봉사상’에 대한 ‘공동주최’를 노무현 정부가 일방적으로 철회하겠다고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가만히 당하고만
있을 조선일보가 아니지요. 지면을 동원해 즉각 반격에 나섰습니다.
![]() |
||
▲ (좌:2006년 8월 1일자 1면 우측 박스기사/8월 2일자 1면 우측 박스기사:우) ⓒ조선일보PDF | ||
![]() |
||
▲ 2006년 8월 1일자 5면 상단 ⓒ조선일보PDF | ||
![]() |
||
▲ 2006년 8월 2일자 5면 상단 ⓒ조선일보PDF | ||
8월 1~2일자 신문을 보세요. 1면과 5면에 관련기사를 도배해 놓았습니다. <"본사 공동주최 '올해의 스승상' 교육부 "폐지하겠다" 일방 통보/"청와대 홍보수석실 지시">(1일자 1면 우측 박스), <"청와대 뜻 워낙 강해 어쩔 수 없었다">(1일자 5면 상단), <"청와대서 환경대상 중단지시"/"청룡봉사상도....윗선서 요구">(2일자 1면 우측 박스), <환경보전 운동.사회공헌 활동도 정권 입맛대로>(2일자 5면 전체)....
제목에서 감 잡으셨듯, '올해의 스승상'과 '조선일보 환경대상', '청룡봉사상'에 대한 정부의 갑작스런 지원중단은 청와대 윗선의 강압에 의한 것이요, 이는 환경보전이나 사회공헌 활동 등도 정부의 입맛대로 요리하려는 정권의 폭압이라는 게 상기한 기사들의 요지입니다. 자기에게 불이익이 주어졌다 싶으면 이유 불문하고 언론탄압으로 몰고가는 못된 버릇 그대로지요?
![]() |
||
▲ 2006년 8월 2일자 사설 ⓒ조선일보PDF | ||
연이은 스트레이트 펀치에 이어 회사 차원의 무게가 담긴 훅도 한방 더해집니다. <옹졸한 정권 옹졸한 사람>이라는 유치찬란한 제목을 단 2일자 사설이 바로 그것입니다. 사설의 내용도 별반 다를 바 없습니다. '계륵 대통령'이란 표현 때문에 조선일보가 정부로부터 엄청난 탄압을 받고 있다, 언론에 대한 비이성적 탄압을 해 온 정권의 말로는 비참하다는 것을 명심하라.... 운운하는 식상한 레토릭이 전부니까.
자사가 주최한 시상에 대한 정부지원을 중단한 게 언론탄압에 해당된다는 조선일보의 허접한 투정은 한 두번 들어온 것도 아니니 대범하게 그냥 넘기도록 하겠습니다. 대신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게 있습니다. 논조에 대한 것도 아니고 타언론사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세 가지 상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다고 한 것 뿐인데 조선일보가 왜 이리 길길이 날뛰는 걸까요? 이렇게 묻는 까닭인즉 조선일보가 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 지원도 간섭의 일종이다. 지원을 끊는 것이 바로 압력이 되기 때문이다. 보도와 논평의 중립과 독립을 추구하는 언론이 자나깨나 재정 자립을 위해 노심초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언론이 권력으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는 것은 보도와 논평의 중립과 독립을 대가로 제공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것은 자유언론의 죽음이다...."(조선 사설, <정권과 親與 언론, 국민 稅金으로 무슨 거래하나>, 2006.7.6)
그렇습니다. 정부에게 자그마한 돈이라도 받으면 끝장이랍니다. 정부 지원도 일종의 간섭이기 때문에 이는 자유언론의 죽음일 수 밖에 없답니다. 황희 정승도 울고 갈 이런 청빈한 논리로 조선일보가 그동안 얼마나 많은 시민단체들을, 얼마나 많은 약소언론들을 정부 홍위병 내지는 친여언론이라고 몰고 갔습니까?
조선일보는 지난 2004년 8월에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이 워크숍을 하면서 인권위로부터 960만원을 지원받은 것을 놓고 "이 단체가 돈이 없어 회의를 여는 데 정부 지원을 받을 정도라고 하면 누가 믿을 것이며, 이렇게 정부 돈을 받아 개최한 워크숍의 결과가 객관적이고 공정한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또 어디 있겠는가"(사설, <시민단체, 보조금 받으며 過去史에도 뛰어드나>, 2004.8.26)고 비난했습니다.
한달 뒤인 9월에는 또 "정부가 지난해 565개 시민단체(비정부기구)에 총 411억원을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며 "결국 이런 유사 또는 사이비 시민단체와 운동가 때문에 진짜 시민운동가와 단체들의 명예까지 함께 더럽혀지고, 도매금으로 국민의 불신을 사게" 됐으며 "시민단체의 상당수가 권력의 편에 서서 권력을 비판하는 세력을 비판하는 것을 사명처럼 여기는 빗나간 풍토도 이런 배경에서 빚어진 것"이라고 볼륨을 높이기도 했습니다.(사설, <시민단체의 玉石을 가릴 때다>, 2004.9.2)
"정부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정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듯한 활동을 벌이는 사이비 시민단체들"(사설, <이젠 시민단체에도 自淨 바람 불어야>, 2005.1.13)과 "권력의 보조금에 기생해 사는 정체불명의 친여단체와 운동권세력들"(사설, <집값 잡는 紅衛兵 동원하겠다는 청와대 정책실장>, 2006.5.24)에 대한 조선일보의 매서운 질타는 해가 바뀌어도 그칠 줄을 몰랐습니다.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 지역신문 6곳, 오마이뉴스·프레시안 등 인터넷신문 3곳, 잡지 ‘민족21’ 등 12개사가 새로운 신문법에 따라 신문발전위원회로부터 기금을 지원받게 된 걸 물고 늘어지며 이들을 '친여 언론'이니 '친위언론단체'니 하고 싸잡아 두들겨 팬 것도 이러한 논리의 연장선 상에서 이루어진 일어었지요.(2006년 7월 6일자 사설 참조)
그런데 이런 조선일보가 공동주최란 명분 하에 노무현 정부로부터 해마다 꼬박꼬박 보조금을 받으며 앞서 언급한 ‘올해의 스승상’, ‘조선일보 환경대상’, ‘청룡봉사상’ 등을 운영해 왔다는 것, 그리고 이것 말고도 이런 저런 이름으로 정부기관들로부터 막대한 재정지원을 받으며 시상해 온 것들이 열 손가락으로 다 헤아릴 수 없을만큼 허다하는 것, 그러면서도 자신의 거지근성은 생각지 않고 타신문들만 손가락질하고 있다는 것, 나아가 정부가 일방적으로 지원을 끊으려 한다며 '언론탄압' 노래를 부르고 있다는 것,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합니까?(내 상식으론 도대체 이해가 가지 않아서 묻는 겁니다.)
사실 이들 시상은, 정직하게 말하자면, 정부의 지원 중단 아니라도 진즉에 폐지됐어야 마땅합니다. 전교조에 속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수만을 헤아리는 이 땅의 교사들을 인간 이하의 존재로 매도하고 비방한 조선일보가 무슨 염치가 있어 '올해의 스승상'을 수여할 수 있겠습니까? 청룡봉사상도 마찬가지입니다. '고문의 대명사' '인간백정' 이근안에게 주어진 이 상이 다른 사람들에게 무슨 영예가 되겠습니까?
'계륵 대통령' 표현에 대한 보복이 됐든 어쨌든, 조선일보가 주최한 이들 시상에 대해 정부가 뒤늦게나마 지원을 중단하기로 한 것은 지극히 정당합니다. 조선일보가 어떤 신문입니까? 목에 칼이 들어와도 입바른 말을 내뱉는다는 자칭 비판신문, 독립신문 아닙니까? 이런 신문에 노무현 정부가 아무리 작은 금액이라도 재정적 지원을 한다는 건 타신문사와의 형평성을 넘어서 조선일보를 욕보이는 짓이 될 것입니다.
하여 권고하건대, 조선일보가 진정 이 땅의 스승을 생각하고, 사회의 의인을 고무하며, 환경보전에 열심이라면, 차제에 말 많고 탈 많은 정부의 지원일랑 말끔히 벗어던지고 자유언론답게 제 힘으로 맘껏 시상하기 바랍니다. 그 상이 권위가 있건 없건, 제 돈 들여 하겠다는 데 누가 뭐라 하겠습니까? 그런데도 정부가 시상을 방해하고 탄압하거든 그땐 내게 연락하세요. 정부청사 앞에서 조선일보를 위해 기꺼이 일인시위를 뛰어줄 터인즉.
ⓒ 데일리서프라이즈 문한별 편집위원